728x90
반응형



1. 1950년대 미국은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이 심하던 시기였음. 메릴랜드주내에서 유일하게 흑인 빈민들을 받아주던 존스홉킨스 병원이 있었음. 




2. 1951년 2월 8일.  헨리에타 랙스라는 31살 흑인여자가 존스홉킨스 대학병원을 찾아 옴. 빤스에 피가 묻어나와서 진찰 받으러 온 것임. 




3. 의사는 그녀의 자궁에서 종양을 발견하고 검사를 위해 샘플을 채취함. 악성종양으로 밝혀지며 자궁경부암 판정을 받았고, 헨리에타는 3개월만에 암으로 사망함. 그런데 이 샘플로 채취한 암세포가  죽지를 않는것임. 보통 3-4일이면 시험관에서 죽는데 이 암세포는 안죽고 계속 성장을 함 




4. 병원은 이 죽지않는 암세포를 헨리에타 랙스의 이름을 따서 Hela세포라고 이름을 붙임. 죽지않고 계속 성장을하니 처치곤란해진 여유분 암세포를 주위 병원과 연구소로 무료나눔을 해줌. 이걸 가지고 다들 연구를 함  




5. 70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이 세포는 살아있으며 세계적으로 5천만톤이 배양됨. 이 세포로 11000개의 특허, 7만건의 연구논문이 나오고 2명의 노벨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함. 소아마비 백신도 이 세포 덕분에 만들어짐. 





6. 이렇게 암세포가 안죽고 계속 성장하는 성질이 인간의 수명연장과 노화방지의 실마리가 될것으로 보임 





7. 암세포는 좀비와 비슷함. 죽어야할 세포가 안죽고 계속 살아남으면서 옆의 정상세포들을 암세포로 만듬. 초기에 좀비가 몇마리밖에 없을때는 퇴치가 되지만, 마을을 다 집어삼키고 다른 마을까지 퍼져가면 노답이 됨 




8. 암세포는 빠르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영양분을 필요로 함. 대부분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음. 암세포가 커지려고 해도 주위에 혈관이 커지지않으면 암세포가 커지는 속도가 느려짐.  이럴때 암세포는 영양분을 더 많이 먹기위해 새로운 혈관을 만들기까지 함. 





9. 암은 세포가 있는곳에는 다 생기지만 주로 빠르게 성장하는 부위에서 자기도 같이 빠르게 성장함. 뇌는 아이일때 대부분 성장해서 뇌종양은 주로 아이들에게 많이 보이는 이유임 




10. 성장이 빠른 젊은사람이 암에 걸리면 암세포도 빨리 커져서  빨리 죽음. 반대로 노인은 성장이 느려서 암도 천천히 커짐. 암에 걸려도 노인은 천천히 죽게됨 





11. 항암제의 경우 빠르게 성장하는 암세포의 특성에 맞춰 빠르게 성장하는 모든 세포를 박살내는 것임. 이러다보니 성장속도가 빠른 모근도 암세포로 취급되어 머리카락이 빠지게 됨. 





12. 항암의 다른 방식으로 암세포가 혈관을 새로 만들어 성장하는것을 막아 암세포를 굶겨죽이는 약도 있음.    임신시 태아의 혈관이 잘 안만들어져 기형아가 생기는 부작용이 있음. 




13. 암세포가 성장을 하면서 엄청난 영양분을 쓰다보니 먹는거는 비슷한데 살이 빠지는게 보통 초기증상이 됨.  

괜히 살이 빠지면 병원 가보는게 좋음. 





14. 1900년만 해도 인간의 사망원인 1위는 독감, 2위 결핵, 3위 감염이었고 암은 순위권 밖이었음. 과거에는 암에 걸리기전에 다른병으로 다 죽었는데 인간이 오래 살면서 암이 많이 보이게 됨. 현재 대한민국 사망원인 압도적 1위가 암임. 




15. 암과 치매는 상극임. 암에 걸리면 치매에 안걸리고 치매에 걸리면 암이 잘 안생김. 이유는 아직 모름. 







한줄요약.  갑자기 살 빠지면 병원 가는게 좋음



728x90
반응형
Posted by fh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