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갠적으로 잡입 플레이를 좋아하고 지난 3, 4에서도 가능한 상황에서는 전부 테이크다운으로 진행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테이크다운 스킬이 많은 파크라이가 저한테 맞는 것 같구요.

 

 

 

암튼 이번작 테이크다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보자면

 

기본적으로 발동 거리부터 얘기하자면 3보다 4가 테이크다운 발동 거리가 길었고 이번 5에서는 테이크다운 마스터리 찍으면 4보다도 발동 거리가 더 깁니다.

 

기본은 몰래 적의 뒤를 잡거나 풀숲같은 곳에 숨어있을 때 발동이 가능하고 앞에서 급습이나 적이 재장전 하는 짧은 시간 안에는 발동이 가능했는데

 

이번 작에서는 정면 급습 발동 가능 시간이 더 늘었습니다. 앞에서 맞닥뜨려도 상당히 여유롭게 발동이 가능한 시간이 주어집니다.

 

기본 테이크다운은 이렇게 판정이 좀 더 좋아졌고 엄폐 테이크다운, 낙하 테이크다운은 전작이랑 동일하게 발동합니다.

 

상향 테이크다운도 여전히 있는데 발동 판정이 좀 더 좋아져서 사다리 타고 올라가는 도중에도 적이 가장자리에 있으면 발동 가능합니다.

 

연속 테이크다운은 기존과 같은데 이번 작에서는 연속 테이크다운 가능한 거리가 상~당히 늘어났기 때문에 

 

전작 같았음 연속 테이크다운은 안 되고 나이프쓰로우나 권총 테이크다운만 가능할 거리에서도 발동이 뜹니다. 

 

 

 

가장 큰 변경점은 전작에 있었던 나이프쓰로우 테이크다운이랑 권총 테이크다운에 있습니다.

 

우선 나이프쓰로우 테이크다운은 이번에는 근접무기던지기 테이크다운으로 바뀌었는데 지금 소지하고 있는 근접무기를 하나 소모해서 발동됩니다.

 

전작의 나이프쓰로우 테이크다운은 적이 가지고 있는 나이프를 뽑아서 던졌기에 스텔스킬 판정이었는데

 

이번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근접무기를 던져 죽이는 거라서 스텔스 판정이 아닙니다. 근처에 다른 적이 있으면 소리 듣고 달려옵니다.

 

당연히 소지한 근접 무기가 하나도 없다면 발동이 불가능하구요. 이런 점에서 나이프쓰로우 테이크다운은 하향된 거나 마찬가집니다.

 

그러나!!! 이번 작에서 중요한 건!! 권총 테이크다운인데 나이프쓰로우 테이크다운과 마찬가지로 전작에서는

 

권총테이크 다운을 발동하면 적이 가지고 있는 권총을 뽑아서 쐈죠. 앞에 몇명이 있건 다 원샷 원킬로 죽여서 엄청 좋은 스킬이었으나

 

총쏘는 소리에 다 들켜서 잠입 플레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작에서는 권총 테이크다운도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권총으로 발동이 됩니다~!!!! 이게 무슨 의미인가 하면 바로 내가 커스텀한 무기로 발동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즉 소음기를 달아놓은 권총을 소지한 채로 권총 테이크다운을 발동하면 소음기 권총을 뽑아서 쏘기 때문에

 

앞에 적이 몇명이 있건 간에 소리없이 다 원샷 원킬이 가능하다는 거죠..;;

 

물론 이번작도 적들이 졸~~~라게 예민한데다 소리없이 여러명을 원샷원킬 하기에 딱! 좋은 위치를 쉽게 내주진 않기에 마구마구 쉽게 할 순 없긴 하지만요.

 

그래도 전작에서 나이프쓰로우 테이크다운으로 기본적으로 두명 정도는 쉽게 스텔스킬이 가능했던 것처럼

 

이번에는 권총 테이크다운으로 두명 정도는 쉽게 스텔스킬이 가능합니다.

 

발동 커맨드는 엑박 패드 기준으로 근접무기 테이크다운은 근접무기를 소지한 채로 한놈 테이크다운후에 바로 RT

 

휴대무기 테이크다운은 권총을 소지한 채로 한놈 테이크다운 후에 바로 LT 홀드하고 적의 수에 맞춰서 RT를 눌려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4와 마찬가지로 이번작에서도 특정 테이크다운 스킬을 연속으로 쓰는 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낙하 테이크다운 후에 바로 근접무기 던지기, 권총 테이크다운이나 연속 테이크다운이 발동 가능하고

 

적들이 여러명 있을 시에 연속테이크다운 중간에 근접무기 던지기나 권총 테이크다운 발동도 가능합니다.

 

 

 

결론은.. 이번 작에서는 권총 테이크다운이 사기!!!! 라는 겁니다. 이리 저리 가능한 상황을 만들어서 테이크다운 위주로 해보시길 츄천드립니다. 개꿀잼이에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fhrl
,